청년도약계좌 신청 안내 - 조건, 기간, 혜택 총정리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금융상품입니다. 청년들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추가로 지원해 주는 방식으로, 5년 동안 유지하면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청년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, 장기적인 저축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정책 상품으로, 개인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의 기여금이 차등 지급됩니다. 이를 통해 청년들은 보다 안정적인 재정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, 만기 시 목돈 마련이 가능해 주택 구매, 창업, 학자금 상환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방법
신청 기간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신청 가능하며, 구체적인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및 각 은행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신청은 1년 내내 가능하지만, 월별 신청 인원이 많을 경우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신청 방법
청년도약계좌는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취급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 뱅킹 접속
- 청년도약계좌 가입 메뉴 선택
- 본인 인증 및 신청서 작성
- 소득 요건 및 가입 조건 확인
-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설정
은행별로 신청 절차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본인이 이용하는 은행의 세부 절차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위해서는 연령, 소득 등 몇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연령 요건
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 (신청일 기준)
단, 병역 이행 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산정 시 제외 (예: 군 복무 2년을 마친 경우 만 36세까지 가입 가능)
소득 요건
개인소득이 있는 청년
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 기여금 지급
연소득 6,000만 원 초과 시 정부 기여금 미지급
소득 증빙이 가능한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으며, 소득이 아예 없거나, 육아휴직급여 및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 정부 기여금 매칭 비율이 6%로 제한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상품 주요 내용
적립 방식
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 적립 가능
1,000원 단위로 자유롭게 입금 가능 (단, 회차별 최소 1,000원 이상 필요)
가입 기간
가입 기간은 5년(60개월)이며, 중도 해지 시 일부 혜택이 제한될 수 있음
이자율 및 정부 기여금
최대 6% 이자 적용
기본금리: 3.8%~4.5%
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
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 수준 및 납입 금액에 따라 차등 지급
비과세 혜택
만기 해지 시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적용
유의 사항
정부 기여금 지급 조건
개인 소득이 6,000만 원 초과 시 정부 기여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됨
육아휴직급여나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 정부 기여금 매칭 비율이 6%로 제한됨
중도 해지 시 불이익
가입 후 5년을 유지해야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 환수 및 이자 혜택 감소 가능
다만, 불가피한 사유(예: 실직, 폐업, 질병 등)로 해지하는 경우 일부 혜택 유지 가능
기타 주의사항
계좌 개설 후 일정 기간 내에 납입하지 않으면 자동 해지될 수 있음
한 번 가입하면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함
신청 가능한 은행
청년도약계좌는 여러 금융기관에서 취급하고 있으며, 주요 은행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.
국민은행 https://obank.kbstar.com/quics?page=C016613&cc=b061496:b061645&isNew=Y&prcode=DP01001576#loading
신한은행https://bank.shinhan.com/index.jsp#020102010110
하나은행https://www.kebhana.com/cont/mall/mall08/mall0801/mall080102/1492305_115157.jsp
농협은행https://smartmarket.nonghyup.com/servlet/BFDCW1021R.view
부산은행, 대구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 등 지방은행
카카오뱅크, 케이뱅크 등 인터넷 은행
각 은행별로 제공하는 추가 혜택이 다를 수 있으므로, 가입 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A1.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이 환수되며, 이자 혜택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. 다만, 실직, 폐업, 질병 등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일부 혜택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.
Q2. 소득이 없어도 가입할 수 있나요?
A2. 기본적으로 개인 소득이 있어야 하지만, 군장병급여나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경우에도 일부 가입이 가능합니다. 단, 정부 기여금 지급 비율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Q3. 가입 후 납입 금액을 변경할 수 있나요?
A3. 네, 가입 후에도 납입 금액을 조정할 수 있으며, 최대 월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과 높은 금리를 통해 5년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하지만, 가입 후 5년을 유지해야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,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.
보다 자세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(https://ylaccount.kinfa.or.kr)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궁금한 사항은 서민금융콜센터(☎1397, '3'번 선택)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